
운전면허 기능시험에 대한 궁금한 것이 있으시다면 이번 글을 한번 읽어보세요.
이번 글에서는 운전면허 기능시험이 무엇인지, 어떤 내용을 평가하는지부터, 운전면허 기능시험 접수방법, 유효기간, 합격범수까지 운전면허 기능시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 읽기 이전에 기능시험 접수를 통해서 먼저 가능한 예약날짜에 예약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운전면허 시험 절차
운전면허 시험은 다음의 절차를 통해서 진행됩니다.
- 교통안전교육
- 신체검사
- 학과접수
- 학과시험 (필기시험)
- 기능시험 접수
- 기능시험
- 연습면허발급(2년이상 운전경력자 동승필요)
- 도로주행접수
- 도로주행시험
- 면허발급
운전면허 기능시험 기본정보
기능시험 기본정보
운전면허 기능시험은 운전면허시험장이나 운전학원의 시험용 코스를 주행하면서 조작능력이나 주행능력, 대처능력 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 운전면허 기능시험 항목: 기어변속조작, 전조등조작, 방향지시등조작, 와이퍼조작, 돌발정지, 경사로 코스, 좌우회전, 신호교차로주행, 직각주차, 속도가속구간 주행
- 시험 채점방식: 감점법, 100점의 점수가 주어지고 실수나 감점요소가 보이면 점수를 깎는 방식으로 80점 이상 합격할 수 있음.
기능시험 준비물 및 시험료
기능시험 준비물: 신분증, 응시표(학과시험 합격 여부 도장이 찍혀 있어야 함), 응시
시험료: 25,000원(면허시험장 기준), 약 5만원(전문학원 기준)
운전면허 기능시험 유효기간
유효기간 | 필기시험 합격 후 1년 이내(도로주행까지 모두 해결해야) |
학과 시험(필기시험)을 합격한 뒤에 남은 과정인 기능시험 접수 및 시험, 도로주행 접수 및 시험 단계를 1년 안에 모두 통과 해야 합니다. 만약 1년안에 모두 해결하지 못하면 학과 시험부터 재응시하여야 합니다. 정확한 날짜 계산과 계획이 필요합니다.
운전면허 기능시험 합격점수
운전면허 기능시험 합격점수의 경우에는 필기시험인 학과시험과는 다르게 모두 같은 점수 기준으로 합격점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운전면허 기능시험의 합격 점수는 1종대형, 특수, 1종보통, 2종보통 모두 80점 이상입니다.
운전면허 기능시험 후기
운전면허 기능시험의 경우 2016년 시험의 난이도가 강화된 이후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시험이며 실제로 긴장한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이 탈락하는 시험입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전혀 긴장하지 않더라도 막상 시험장에 가면 긴장하고 실수를 하게 되어 탈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험을 다시 응시해야하면 그만큼 시험 응시료가 중복으로 들고 시간과 노력도 또 더 들어가야하니 무조건 손해입니다.
아래에서 적어놓은 기능시험에서 가장 많이 하는 실수를 한번 더 확인해보고 가신다면 도움되실 것입니다.
가장 많이 탈락하는 실수
- 안전벨트 미착용: 가장 많이 하는 실수로 안전벨트를 하지 않고 출발하거나 합격 멘트가 나오기전에 벨트를 풀 경우에 해당한다.
- 주차브레이크 조작: 주차브레이크를 조작하지 않은채로 출발하거나 주행 중에 조작할 경우 실격처리 된다.
- 출발 실패: 10초,10초,10초의 3번 기회에 출발하지 못하거나, "출발하세요" 멘트가 나오기전에 출발한 경우 실격처리된다.
- 신호위반 및 정지선침범: 기능시험에서는 조금이라도 정지선을 넘으면 실격처리된다.
- 2종보통 변속기 조작과정 브레이크 미사용: 2종보통의 경우 반드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변속기 조작을 해야 됩니다. 아니면 실격
- 중복 차선이탈, 도로이탈: 차선이탈(15점 감점) 및 다른 조작실수, 혹은 연석을 밟게 되면 실격처리된다. 차선이탈이 이미 15점 감점이므로 사소한 감점도 바로 실격으로 이어진다.
- 코스과제 미이행: 모니터 색을 참고하면서 정지상태, 변속 등등을 미션을 이행하지 않으면 실격처리된다.
👍추천 도움 될 만한 글👍필기시험부터 자세히 알아보기 싶다면 이 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