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용위임장, 법인에서 사용하는 대리인 위임장, 인감증명서 위임장, 부동산용 대리계약 위임장 등 다양한 위임장 양식을 찾고 있다면 이번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임장의 의미부터 위임장의 작성방법, 위임장에서 필수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는 내용 등과 함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위임장들의 양식을 안내해 드립니다.
이번 글과 함께 원하는 위임장 양식을 찾아보세요.
위임장이란?
특정한 대상자에게 어떤 일이나 문서를 위임한다는 뜻을 적은 문서입니다. 원칙적으로 위임장이란 정해진 서식이나 양식이 있는 문서는 아니지만, 각 기관마다 정해진 양식이 있는 경우 정해진 양식에 따라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법률적 의미의 위임장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 대해 사무처리를 위탁하고 상대방이 이를 승낙함으로 의미를 가지게 되는 문서로, 민법 조항에 따라 위임의 상황에 사용하는 문서를 뜻합니다.
위임장 작성방법
위임장은 법적으로 정해진 양식이 있거나 하나의 정해진 양식을 배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종 상황에 맞는 내용이 포함된 위임장을 골라서 작성하셔야 하며, 필수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수정하여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위임하는 내용, 즉 위사항을 구체적으로 적어야 추후에 상황의 변화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위임장 필수내용
위임장에 원칙적으로 정해진 양식은 없지만 필수적으로 아래 내용은 포함되어야 합니다.
위임장 필수내용 |
위임인(위임하는자)의 인적사항, 수임인(위임받는자)의 인적사항, 위임사안(위임내), 위임날짜(위임기간), 서명 또는 날인, 제목('위임장") |
위임장 양식모음
1. 범용 위임장 (민원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지 제3호 서식)
각종 행정부처의 등록 및 인허가시에 많이 사용되는 양식으로 일반적인 상황에 범용으로 쓰일 수 있는 위임장입니다.
2. 인감증명서 위임장 (인감증명법 시행령 별지 제13호 서식)
인감증명서발급 이외에도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 및 한정후견인 및 성년후견인동의서¸재외공관 및 수감기관확인서¸세무서(세무서장) 확인서(인감증명법시행령) 등의 용도로 쓰입니다.
3. 법인 이용 위임장
아래는 법인 내에서 이용하는 위임장 형식으로 사용되는 상황에 맞춰서 양식을 수정하고 내용을 작성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4. 대리계약 위임장(부동산 거래 위임장)
부동산 대리 계약 시에 많이 사용되는 위임장으로 위임인의 인감 증명서를 첨부해야 합니다.
결론: 이 글을 마치며
위임장 양식에 대해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위임장은 정해진 양식이 없는 서류입니다.
사용되는 사용처에 맞게 위임장의 양식을 수정하고 내용을 채워 넣어보세요. 그리고 필요한 적재적소에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위임장이란 권한과 권리를 나누는 것인 만큼 신중하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작성하고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천 도움 될 만한 글👍